본문 바로가기
시사 정보/경영 & 직장 정보

종합소득세 신고할 때 배당가산율(gross-up)이 뭐예요? 쉽게 알려드립니다

by 공유바로 2025. 5. 26.
반응형

2024년 귀속 종합소득세 신고 시 적용되는 ‘배당가산율(gross-up)’ 개념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준비에 꼭 필요한 정보입니다.

종합소득세 신고할 때 배당가산율(gross-up)

💡 종합소득세 신고, 배당소득에도 세금이 붙는다고요?

5월은 2024년 귀속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입니다.
프리랜서, 자영업자뿐 아니라 배당소득이 있는 투자자 분들도 신고 대상이 될 수 있는데요,
이때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개념이 바로 ‘배당가산율’입니다.

“내가 받은 배당소득에 왜 더해서 계산을 하나요?”
“배당가산율(gross-up) 는 무슨 뜻이죠?”

이번 글에서는 이 궁금증을 아주 쉽게 풀어드릴게요.
2024 종합소득세 신고를 앞두고 꼭 알아두셔야 하는 핵심 개념입니다.


📌 배당가산율(gross-up)이란? 

회사가 돈을 벌면 법인세를 먼저 냅니다.
그 뒤 남은 돈 중 일부를 주주에게 배당하게 되죠.

그런데 주주가 그 배당을 받고 또 세금을 내야 해요.
그러면 한 번 번 돈에 두 번 세금을 내는 셈이 됩니다. 이게 바로 이중과세예요.

이걸 해결하기 위해 나온 제도가 배당가산율입니다.

✔️ 핵심만 정리하자면:

  • 개인이 받은 배당소득에 11%를 추가로 더한 금액을 기준으로 종합소득세를 계산하고
  • 그에 상응하는 세액을 다시 빼주는 제도입니다.

이 11%가 바로 배당가산율이에요.


🧮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상황 예시

  • 2023년에 어떤 회사에서 1,000만 원의 배당금을 받았어요.
  • 이자 소득과 합쳐서 금융소득이 2천만 원을 넘었어요. (종합과세 대상)

계산 절차

  1. 배당가산액 계산
    → 1,000만 원 × 11% = 110만 원 (이건 실제로 받은 건 아니에요)
  2. 총 수입금액 계산
    → 1,000만 원 + 110만 원 = 1,110만 원
    → 이 금액을 기준으로 종합소득세율을 적용해 세금 계산
  3. 세액공제
    → 가산액(110만 원)에 해당하는 세금은 나중에 다시 공제해줘요

즉, 처음엔 더 많은 소득처럼 계산하지만,
결국엔 내지 않아도 될 세금은 빼주는 방식이에요.


🔍 누가 배당가산율(gross-up)을 적용받나요?

적용 대상자 조건
종합과세 대상자 이자 + 배당 합계가 연 2,000만 원 초과
국내법인 배당 수령자 국내 상장사 등에서 받은 배당금
 

※ 해외주식 배당, 2천만 원 이하 금융소득 → 분리과세, 배당가산율 적용 ❌


❗ 주의하실 점

  • 배당가산액은 실제 수입이 아님 → 단순히 계산용
  • 이 가산액은 과세표준에는 포함되지만, 공제도 되므로 이중과세는 방지
  • 종합소득세 신고 시 누락 없이 반영되어야 정확한 세금이 나옵니다

🧭 배당가산율(gross-up) 정리 한눈에 보기

항목 설명
의미 배당소득에 11%를 더해 세금 계산 후 공제
이유 법인과 개인 간 이중과세 조정 목적
적용 조건 연 2,000만 원 초과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조건 해외 배당소득, 2천만 원 이하 소액 배당은 제외
 

📅 2024년 귀속 종합소득세 신고 일정

  • 신고 기간: 2025년 5월 1일 ~ 6월 2일
  • 납부 기한: 신고와 동일
  • 성실신고 확인 대상자: 2025년 6월 30일까지 연장 가능

💬 자주 묻는 질문

Q. 배당가산율 때문에 세금이 더 늘어나는 건가요?
→ 아니요! 계산상으로만 늘어나는 것처럼 보일 뿐,
나중에 가산액에 대한 세금은 공제 처리돼서 실제 부담은 줄어듭니다.

Q. 해외 배당도 가산율 적용되나요?
→ 아닙니다. 해외 배당소득은 국내 배당처럼 처리되지 않기 때문에
배당가산율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 마무리하며

2024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면서 배당소득이 있다면, 반드시 '배당가산율(gross-up)' 적용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 개념은 어렵지 않지만, 놓치면 세금을 잘못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꼭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종합소득세는 내가 1년간 벌어들인 소득에 대해 정산하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배당가산율처럼 조금 복잡해 보이는 항목도 천천히 이해하면
충분히 스스로 처리할 수 있어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