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정보/주식 정보

오늘의 주식시세 완벽 분석 – 두산에너빌리티 최신 시세와 투자 포인트

by 공유바로 2025. 6. 25.
반응형

2025년 6월 25일 기준, 두산에너빌리티의 오늘의 주식시세와 재무, 성장성, 기술적 분석, 배당, 리스크, 전문가 의견까지 한눈에 정리합니다.

 

목차

  1. 두산에너빌리티 기본 정보
  2. 오늘의 주식시세 분석
  3. 최근 3년 재무제표
  4. 기업 분석(정성적 요소)
  5. 주가 밸류에이션
  6. 성장성 및 시장성
  7. 기술적 분석
  8. 수급 분석
  9. 이슈 및 모멘텀
  10. 리스크 요인
  11. 배당 및 주주정책
  12. 전문가 의견 및 비교
  13. 결론
  14. Q&A
  15. 투자 유의 문구
  16. 추천 태그

1. 두산에너빌리티 기본 정보

  • 종목명: 두산에너빌리티 (034020)
  • 상장 시장: KOSPI(코스피)
  • 업종 및 산업군: 기계·장비 / 발전플랜트, 원자력, 해상풍력 등
  • 주요 사업 내용: 발전플랜트 EPC, 원자력·복합화력·풍력 발전기자재 설계·제작, 서비스 산업, 수소발전 및 무탄소전원 확대
  • 시가총액: 441,347억 원
  • 유통주식수: 640,561,146주
  • 액면가: 5,000원
  • 현재 주가: 68,900원 (2025.06.24 종가 기준)
  • 52주 최저가/최고가: 15,150원 / 71,400원

2. 오늘의 주식시세 분석

  • 현재 주가: 68,900원
  • 전일 대비 등락률: +300원 (+0.44%)
  • 거래량/거래대금: 13,780,632주 / 9,494억 원
  • PER: N/A (최근 적자)
  • PBR: 5.80
  • 이동평균선:
    • 5일선: 최근 상승세 지속
    • 20일선: 단기 고점 돌파
    • 60일, 120일선: 중장기 강세 전환
  • 직전 고점/저점과의 괴리율: 52주 최고가(71,400원)와 근접, 단기 조정 가능성
  • RSI(상대강도지수): 70대 초반(과매수 구간 진입)

3. 최근 3년 재무제표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매출액 17조 2,000억 18조 4,000억 19조 1,000억
영업이익 3,800억 4,200억 3,600억
순이익 -1,020억 -1,570억 -1,020억
영업이익률 2.2% 2.3% 1.9%
순이익률 -0.6% -0.9% -0.5%
부채비율 270% 250% 230%
유동비율 110% 120% 115%
ROE -1.3% -2.1% -1.4%
ROA -0.4% -0.6% -0.5%
영업현금흐름 +1,200억 +1,800억 +1,500억
EPS -159 -245 -159
BPS 11,872 11,600 11,872
 

4. 기업 분석(정성적 요소)

  • 핵심 경쟁력: 국내외 발전플랜트 EPC(설계·조달·시공) 분야의 독보적 기술력과 대형 프로젝트 수행 경험
  • 비즈니스 모델 지속 가능성: 탄소중립, 수소·원자력 등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정책에 부합
  • 시장 점유율: 국내 발전플랜트 시장 1위, 해외 EPC 수주 확대
  • 신사업 계획: 수소터빈, SMR(소형모듈원전), 데이터센터용 에너지 솔루션 등 신성장 동력 확보
  • ESG 경영: 친환경 설비 투자, ESG 등급 개선 노력
  • 경영진 리더십: 두산그룹 계열의 안정적 지배구조와 전문 경영진
  • 기술력/특허: 국내외 원자력·풍력·수소발전 특허 다수 보유
  • 주요 고객사: 한국전력, 한수원, 글로벌 에너지 기업 등

5. 주가 밸류에이션

  • PER: N/A(적자)
  • PBR: 5.80 (업계 평균 2.1 대비 높음)
  • EV/EBITDA: 16.5배(추정치)
  • PEG: N/A
  • 업계 평균 대비: 성장 기대감이 반영되어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형성
  • 적정주가 추정: 실적 개선 시 75,000~80,000원대 가능성(증권사 리포트 기준)

6. 성장성 및 시장성

  • 성장 가능성: 수소·원자력 등 친환경 에너지 수요 증가, 글로벌 EPC 시장 확대
  • 산업 성장률: 연평균 5~7% 성장 전망(한국경제/매일경제 자료 참고)
  • 매출처 다변화: 국내외 대형 프로젝트 수주, 신사업 매출 비중 확대
  • 글로벌 진출 여부: 중동, 유럽, 아시아 등 해외 EPC 수주 활발
  • 정부정책 수혜: K-원전, 탄소중립 정책 등 다수 정책 수혜 기대

7. 기술적 분석

  • 주가 흐름: 2024년 하반기 이후 급등, 최근 52주 최고가 경신
  • 이동평균선 분석: 5일·20일선 상향 돌파, 중장기 강세 지속
  • 거래량: 단기 거래량 급증, 투자심리 강세
  • RSI, MACD, 스토캐스틱: 과매수 신호, 단기 조정 가능성
  • 볼린저밴드: 상단 돌파, 변동성 확대

8. 수급 분석

  • 기관/외국인/개인 매매 동향: 외국인 순매수 지속(24.55% 보유), 기관 매수세 유입
  • 공매도 비율: 최근 감소 추세
  • 프로그램 매매: 차익거래 중심, 단기 변동성 확대
  • 자사주 매입/블록딜: 자사주 보유 0.01%, 최근 대규모 블록딜 없음

9. 이슈 및 모멘텀

  • 정책 이슈: 정부의 원전·수소발전 확대 정책, 해외 원전 수주 기대감
  • 실적 발표/IR 일정: 2025년 2분기 실적 발표 예정(7월)
  • 공시 내역: 신규 수주, 대형 프로젝트 계약 체결 등
  • 신제품 출시 일정: SMR, 수소터빈 등 신제품 개발 중
  • 글로벌 경기 영향: 에너지 인프라 투자 확대, 환율 변동 영향

10. 리스크 요인

  • 실적 부진/자본잠식: 최근 적자 지속, 실적 개선 필요
  • 부채 리스크: 부채비율 230%로 높은 편
  • 규제/소송 위험: 해외 프로젝트 관련 리스크 상존
  • 경영 리스크: 대규모 프로젝트 지연 시 실적 변동성
  • 경쟁 심화: 글로벌 EPC 업체와의 경쟁
  • 특정 고객사 의존도: 대형 프로젝트 중심 매출 구조

11. 배당 및 주주정책

  • 배당금/배당수익률: 2024년 기준 현금배당 없음(적자 지속)
  • 배당성향: 실적 개선 시 배당 재개 가능성
  • 자사주 소각: 최근 자사주 소각 이슈 없음
  • 주주친화 정책: IR 활동 강화, 투자자 소통 확대

12. 전문가 의견 및 비교

  • 증권사 리포트/목표주가: 75,000~80,000원(한국경제/매일경제 인용)
  • 애널리스트 의견 변화: 실적 개선 기대감, 신사업 모멘텀 긍정적
  • 동종 업계 종목과 비교: 현대로템, 한전KPS 등과 비교해 신사업 성장성 우위
  • 실적 컨센서스 및 괴리율: 시장 기대치와 실적 괴리 존재, 하반기 개선 관건
  • 향후 업사이드 가능성: 신사업 및 정책 수혜 시 추가 상승 여력

결론

두산에너빌리티는 오늘의 주식시세 기준 68,900원으로 52주 최고가에 근접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수소·원자력 등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정책과 신사업 모멘텀, 해외 수주 확대 등 성장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적자 지속과 높은 부채비율 등 리스크도 상존합니다. 투자자는 오늘의 주식시세와 함께 재무, 기술적, 수급, 정책 이슈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셔야 합니다.


Q&A (자주 묻는 질문)

Q1. 두산에너빌리티의 주가 전망은?
A. 신사업 모멘텀과 정책 수혜로 중장기 성장 기대감이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실적 개선 여부와 시장 변동성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Q2. 배당 수익률은 어떤가요?
A. 최근 적자 지속으로 현금배당은 없으나, 실적 개선 시 배당 재개 가능성이 있습니다.

Q3. 외국인/기관 투자 비중은?
A. 외국인 지분율은 약 24.55%로, 최근 순매수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Q4. 리스크 요인은 무엇인가요?
A. 실적 부진, 높은 부채비율, 해외 프로젝트 리스크 등이 주요 리스크입니다.

Q5. 동종 업계와 비교 시 경쟁력은?
A. 신사업 성장성과 글로벌 EPC 경험에서 경쟁 우위가 있으나, 재무 건전성은 추가 개선이 필요합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주식시세와 두산에너빌리티에 대한 심층 분석을 마칩니다. 투자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

 

※ 이 글은 투자 참고용 정보이며, 모든 투자 판단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투자 전 반드시 공식 자료 또는 전문가의 자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